예술 여행24 음악적 리얼리즘 음악적 리얼리즘, 음악과 현실 음악은 다른 예술보다는 추상적입니다. 영화나 연극에서 느꼈던 멋진 경험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이 그렇게 구체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음악과 현실의 거리감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낭만주의적 관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음악은 현실의 세속적인 것들을 등지고 미의 본질을 추구한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음악을 통해 현실의 괴로움을 잊고 이상적인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고 믿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음악에서는 항상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화된 아름다움"만이 추구되었을까요?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실제적으로 많은 음악작품은 현실적 삶의 모습을 다루고 있고, 또 작품에는 직접, 간접적으로 현실이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그 현실은 아름다울 수도 있지만, 추할 수도 있습.. 2020. 5. 4. 베커의 '즉흥연주' 베커의 즉흥연주론 파울 베커(Paul Bekker 1882~1937)는 자신의 음악학적 이론체계를 폭넓은 평론가적 경험과 결합시키면서 음악의 연주와 해석 전반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그의 논문 '즉흥연주와 재생산'은 이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는 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는 이 글에서 다음의 기본 논제를 제시합니다. "음악 연주는 그 근원과 본질을 고찰하여 볼 때 '즉흥 예술'이다. 왜냐하면 음악이란 본래 순간의 울림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음악작품은 음의 순간적인 울림을 통해서만 진정한 존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그는 이상적 연주를 '즉흥 연주'로 설정하였는데, 이때 즉흥연주는 악보 없이 연주하는 일반적 의미의 즉흥연주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이와 대립해서 .. 2020. 5. 4. 연주자의 음악미학 훌륭한 연주가가 되기 위해서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연습입니다. 그러나 '아름다운'연주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연주가의 몫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연주'란 창작자와 작품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연주자 자신의 음악관을 저제로 하고, 더 나아가 음악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나의 문화적 테두리 속에서 행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이유에서 음악 연주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되어 왔고, 현재까지 많은 연주자와 음악학자들이 학문적으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즉 음악을 소리로 실제화하는 연주 분야와 음악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는 겉으로 다른 모습을 보이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연주 이론은 음악 미학과 매우 미접한 관계를 갖는데 그 이유는 연주자의 미.. 2020. 5. 2. 위대한 음악가 모차르트의 불편한 진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A. Mozart, 1756~1791) 모차르트의 음악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짧은 생애를 살면서 600여곡에 이르는 엄청난 작품을 남긴 모차르트는 1756년 1월 27일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레오폴드 모차르트는 당시 궁정 음악가로서 바이올리니스트였습니다. 넉넉하지 않은 집안에서 태어난 모차르트는 어릴 때부터 신동이라 불렸습니다. 복잡한 곡을 오선지에 쓰면서 다른 작품의 구상이 가능하였으며, 또 한 번 본 악보는 그 곡이 아무리 길어도 한 개의 음표도 틀리지 않고 오선지에 옮겼다고 합니다. 피아노는 3세 때부터 정식으로 치기 시작했고, 5세 때 피아노용 미뉴에트를 작곡했으며, 6세에는 궁궐과 음악학교를 출입하기 시작하여 8세 때.. 2020. 5. 2. 이전 1 2 3 4 5 6 다음